반응형

안녕하세요!

엑셀 이용하시면서 한 셀에 적혀있는 텍스트를 나누고 싶으실 때가 있지 않으셨나요??

제가 최근에 그랬습니다 ㅎㅎ

그래서 찾아냈습니다! 새로운 기능을요..! 저만 몰랐던 것일수도 있지만요...ㅠㅠ


현재 이렇게 텍스트를 나누기 전에 셀에 여러 내용들이 적혀있는 것이 보이실겁니다!

근데 한글과 숫자 알파벳을 나누고 싶을 때,,, 하나씩 쓰실건가요??

이건 예시니까 당연히 금방 되겠지만!

실제 업무에서는 불가능 할 정도로 시간을 꽤 많이 잡아먹는 업무가 될 수도 있습니다!


그럴때는 하단에 보이는 사진과 같이 텍스트 나누기 기능을 찾아 이용하면 됩니다.

상단 탭 [데이터] -> [텍스트 나누기]를 눌러주세요!

아! 우선 나누고자 하는 셀들을 먼저 지정해주시길 바랍니다.

* 한 열 씩 밖에 지정이 안되니! 이 점 유의해주세요! (세로 한 줄씩만 가능)


텍스트 마법사가 나오고 옵션을 선택하시면 됩니다.

 

구분 기호로 분리됨

문자열 사이에 / , 같은 특수문자나 같은 문자가 문자열 사이에 있다면 그것을 기준으로 텍스트를 나눕니다.

(ex. 가나다라/12345/ABCDEFG   이렇게나    가나다라마헐123456헐ABCDEFG 이렇게도 됩니다!!)

 단! 구분 기호는 텍스트 나눈 후 사라지게 되니 이 점 유의!

 바로 위 예시를 텍스트로 나눌 경우 가나다라 12345 ABCDEFG 이렇게 각 셀에 나눠지게 될 겁니다!

 

너비가 일정함

현재 예시에 있는 셀에는 문자열 사이에 띄어쓰기가 들어가 있습니다.

혹은 문자열이 다 붙어 있다면 텍스트 마법사 2단계에서 직접 선을 그어서 나눌 수 있음.

 * 지금은 기본적인 원리를 보여드려야 함으로 넘어감 ( 궁금한 것은 댓글 바랍니다. )


'구분 기호로 분리됨' 을 선택하고 넘어오면 구분 기호를 선택하셔야 합니다.

저 같은 경우는 문자열 사이에 공백으로 구분하고자 했는데요. 그래서 공백에 체크가 되어있으면

데이터 미리보기와 같이 제가 원하는 부분만큼 나뉘어져 있는 것이 보입니다!!


마지막으로 서식 설정을 해주시면 되는데, 지금 여기서 중요한 것은 '대상' 부분입니다.

$B$4는 텍스트 나누기 (전) 셀 부분이라서 지금 이상태로 나누기를 할 경우에는 하단의 그림과 같이 

그대로 두고 싶었던 예시 내용부터 시작하여 문자열이 나열된 것 이 보이실겁니다!

만약 기존 문자열은 놔두고 새로운 곳에 텍스트를 나누고 싶을신 경우에는 대상을 시작하는 셀에

첫 부분을 지정해주시길 바랍니다!


저는 '대상'을 $C$4로 변경하여서 텍스트를 나누었습니다!


오늘은 손쉽게 한 셀에 있는 문자열을 원하는 조건에 맞춰서 나누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다음에는 문자열을 가로 방향으로 나누었으니 세로로 변경하고 싶으실 때 쓰이는 방밥에 대해서 적어보도록 하겠습니다!

 

오늘 이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을 꾸욱!!

구독까지 해주신다면... 감동입니다..ㅎ

새내기 블로거에게 힘을 주세요!!

반응형

안녕하세요.

 

제가 사무직을 일하고 있어서 엑셀을 주로 쓰기는 하지만 사실 많은 함수를 사용하는 것은 아닙니다!

뭐상품의 대한 목록이 필요하거나 그런 업무 쪽은 아니라서 그 쪽 계열에서 쓰이는 함수가 뭔지는 아직 잘 모르지만!!

실무에서 진짜 많이 쓰이는 엑셀 함수들을 오늘부터 하나하나 알려드리고 그 후에는 제가 몰랐던 함수들도

공부하여 누구나 따라하실 수 있게 적어보고자 합니다!

 

그러면 ROW 함수 먼저 알려드리겠습니다!


ROW 함수 = 해당 셀에 행 번호를 구하는 함수입니다.

 

행이란? 열이란?

'가로줄' 을 의미하며 1, 2, 3, 4 ... 이렇게 숫자가 적혀있는 가로 줄이 '행' 이라고 합니다!

그럼 반대로 열은 '세로줄'이며 A, B, C, D... 이렇게 알파벳으로 구분되어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행과 열이 헷갈리신다면 숫자 부분이나 알파벳 부분에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르시면

옵션에 '열 너비' 가 보인다면 열, '행 높이'가 보인다면 행 이라고 생각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제가 헷갈릴때면 그렇게 보고 했습니다 ㅎㅎ

이제 ROW 사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No. 목록에 맨 앞에 보통 넘버를 채워야하는 상황이 오게 될 텐데 적은 숫자면 그냥 1, 2, 3... 이렇게 적으실거고,

많은 숫자면 1, 2, 3 정도 적고 자동채우기를 통해 밑으로 드래그 하여 숫자들을 나열하신 경험이 있으실겁니다!

하지만 목록이 2000개 정도로 마우스를 밑으로 계속 끌어도 오랜 시간이 걸리는 작업일 때는

ROW 함수면 순식간에 끝이 납니다!

이렇게 No. 넘버를 채워야하는 상황이 왔습니다.

ROW 함수의 사용법은 =ROW() 이렇게 적으시면 되십니다.

() 괄호안에 다른 함수들처럼 조건이나 범위 등 옵션이 필요없습니다.

이렇게 =ROW()를 입력 시 셀 행의 번호가 기입됩니다.

하지만 저기는 3이 아니라 1이 들어와야할때는 어떻게 해야할까요??

=ROW() - 2 라고 적어주시면 됩니다.

왜 -2 를 적는냐면 구하고자 하는 셀의 위로는 2개의 열이 있으므로 2개를 빼주는 겁니다.

만약 위에 5개의 열이 있다면 -5를 적었을겁니다.

이제 많은 목록을 한번에 하실려면 어떻게 해야하는지 알려드리겠습니다!

목록 제일 밑에 셀에 가서 Ctrl + Shift + ↑ 를 눌러보시면 내용이 입력된 셀이 나오기 전까지의 모든 빈셀이 드래그가 되는 모습을 확인하실 수 있으실겁니다. 그리고선 Ctrl + D 를 누르시면 맨 위에 있는 셀의 내용이 드래그한 셀들에 적용됩니다.

 

* Ctrl + Shift + 방향은 여러가지 방법으로 쓰입니다.

1. 빈 셀에서 시작 시 내용이 입력된 셀까지 드래그

2. 내용이 입력된 셀에서 시작 시 빈 셀을 지나 내용이 있는 셀까지 드래그

3. 빈 셀에서 시작하여 빈셀 끝까지 갈 수도 있음.

 

이 기능을 모르시는 분들이 생각보다 있는 것 같더라고요! 

제 상사분도 모르셨구 다른 프로젝트 갔을 때도 모르는 인원들이 꽤 많았습니다.

그래서 생각나는 김에 적어봅니다 ㅎㅎ


이렇게 ROW 함수만 간단히 적을려다가 어느새 내용이 길어졌고 다른 기능까지 적게되었네요!

제가 엑셀에 대해서 잘 알고 그러는 것은 아니지만, 지금 제가 하는 업무를 하면서 어려움 없이 이용이 가능한 정도까지..!

최대한 이해 하실 수 있게 예시와 내용을 자세히 적어보도록 하겠습니다 ㅎㅎ

 

오늘 이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을 꾸욱!!

구독까지 해주신다면... 감동입니다..ㅎ

새내기 블로거에게 힘을 주세요!!

+ Recent posts